업데이트한 카카오톡, 어떠신가요? 혹평에 혹평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단순히 서비스 문제가 아닙니다. 카카오톡은 아직 모든 변신이 끝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AI 톡'으로의 대대적인 변신을 예고했습니다. 카카오 AI시너지TF 김세웅 부사장은 "카카오톡을 단순한 기능 추가를 넘어서 사용자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먼저 필요한 것을 제안하는 'AI 퍼스널 비서'로 진화시키겠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AI 기술이 사용자 경험을 어떻게 혁신하고, 플랫폼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 것인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카카오가 내세운 전략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카나'와 '챗GPT'의 투트랙 협력 구조입니다. 자체 개발 AI인 카나가 한국어 처리와 온디바이스 기능을 담당합니다. 챗GPT와 같은 외부 글로벌 AI 모델은 지식과 생성형 응답을 보완합니다. 모든 것을 자체 개발하기보다, 강점이 있는 영역에 집중하고 부족한 부분은 외부의 강력한 AI 솔루션을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전략'입니다. 효율적인 AI 도입 방안이라고 평가하고 있죠.
여기에 '온디바이스 AI'를 통한 보안 강화와 'AI 검색'으로의 UX 혁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신뢰와 편의성을 동시에 잡겠다는 전략입니다. 특히 '카나 검색'은 대화창 안에서 바로 요약·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외부 앱 이동 없이 정보 탐색이 가능하게 합니다. 사용자 흐름을 끊지 않는 매끄러운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한 결과입니다.
궁극적으로 카카오는 AI를 활용해 상담 자동화, 통화 요약, 캘린더 연동 등 다양한 기능을 카카오톡 생태계에 통합하고자 합니다. 메신저를 넘어 플랫폼 전반으로 AI 서비스를 확장할 욕망을 숨기지 않고 있습니다. AI가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모든 서비스와 비즈니스의 기반이 되는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도 보입니다. 초기 창업가들은 자신의 비즈니스에 AI를 어떻게 통합하고 확장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지 카카오 사례를 통해 전략적 방향성을 모색하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